[프라하 종교개혁 유적지 순례] 1. 까롤리눔과 까렐 대학

* 이 자료는 이지 오떼르 박사의 <프라하의 종교개혁 유적지> 체코어판을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저자와 번역 출판을 약속하였다. 어디에 얽히지 않으면 번역이 점점 늦어질것 같아 매월 발간되는 체코 프라하 한인 소식지 나눔터에 게제하고 있다. 이 번역은 나눔터를 함께 만들어가는 조영란씨와 공동으로 번역을 하였다. 폰드관계로 깨어진 글자는 수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두는것은 인쇄를 하면 원본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폰드관계로 깨어져 보이는 글자는 수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 (목사 이종실)

지역 1
구시가 – 중앙, 남서부

차례
1. 카롤리눔 – 대학교 (Karolinum – Univerzita)
2. 성 하벨 교회와 멜랑트리히의 집 (Kostel sv. Havla a někdejší dům Melantrichů)
3. 구시가 광장의 후스 동상 (Husův pomník na Staroměstské náměstí)
4. 구 시청사 (Staroměstská radnice)
5. 성 니콜라스 교회와 구시가 주위 (Kostel sv. Mikuláše a staroměstské okolí)
6. 성 미할 교회 (Bývalý kostel sv. Mchala)
7. 성 일리 교회 (Kostel sv. Jiljí )
8. 베들레헴 교회 (Betlémská kaple)
9. 슈티트니家 저택 (Někdejší dům rodiny Štítných)
10. 콘빅트 홀, 밀리치의 예루살렘 (Areál Konvikt, někdejší Miličův Jeruzalém)
11. 성 마르틴 교회 (Kostel sv. Martina ve zdi)
12. 전 후스주의 시대의 플라티스 홀 (Areál Platýz s předhusitskou minulostí)

중세 체코 문화의 토대이자, 결국 체코 개혁 운동의 산파 구실을 하였던 카렐 대학을 제외하고서는 체코 종교 개혁의 자취를 따라가는 프라하 도보 여행을 시작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안에서 후스 개혁 프로그램이 생겨나고 발전하였으며, 점차 개혁 교의에 관한 자료들도 만들어 졌다. 오늘날까지 카렐 대학을 대표하는 것은 카롤리눔 강당이다. 이로서 우리는 첫 발걸음을 이 곳으로 향하도록 한다.
바츨라프 광장(Václavské náměstí) 아랫 부분에 있는 지하철역 ‘무스텍(Můstek)’에서 ‘나무스트쿠(Na Můstku)’ 거리를 통해 내려와서 ‘리티즈스카(Rytířska)’ 거리를 만난다. 이 곳에서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면 ‘젤레즈나(Železná)’ 거리와 만나는 곳에 르네상스 건물인 스타보브스케 극장(Stavovské divadlo)이 모습을 드러낸다.

스타보브스케 극장(Stavovské divadlo) (이전의 노스티츠 극장(Nosticovo divadlo)은 1781-83년 F.A. 노스티츠 백작에 의하여 건립되었다. 중앙 입구에 걸려있는 현판은 이 곳에서 1787년 요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돈 지오반니(Don Giovanni)’ 초연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1834년에는 요세프 카예탄 틸(Josef Kajetán Tyl )의 극 ‘피들로바츠카(Fidlovačka)’에서 프란티셱 슈크로우프(František Škroup)가 작곡의 극 중 삽입곡인 ‘나의 고향은 어디인가(Kde domov můj)’가 처음으로 울려 퍼진 것이기도 하다.

1- 카롤리눔 Karolinum (카렐 기숙사, 라틴어로는 Collegium Carolinum)

카렐 대학교 (Karlova Univerzata)본관은 스타보브스케 극장 왼편에 서 있다. 이 건물의 본래 정면 부분은 젤레즈나 거리로 나 있었고, 오늘날 건물 중앙 입구는 극장 뒤 왼편, 잘 가꾸어진 안뜰 쪽으로 나 있다. 지금은 건물 2층 대학 강당 측벽 가운데에 그 부분이 보존 되어있는 성 코스마스와 다미안 교회(Kaple sv. Kosmy a Damián) 의 고딕식 교각 사이를 따라 좁은 길을 통해 들어가 보자.

카렐 4세(Karel Ⅳ, +1378)는 1348년 프라하에 대학을 설립하였다. – 북쪽으로는 알프스, 서쪽으로는 파리까지의 유럽지역에서 설립된 최초의 대학이었다. 그러나 그 당시 대학 본관은 없었다. 초기에 수업은 교회 부속실이나 수도원, 교수 자택에서 이루어졌다. 구시가 유태인 지구 주변에 카렐 4세가 구입한 집들 조차도 학생 기숙사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필요한 공간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그 때 카렐의 후계자인 바츨라프 4세(Václav Ⅳ, +1419)는 1383년 은화 주조원이었던 J. 로틀레프에게 거대한 고딕식 저택을 구입하여, 근처 두 개의 건물과 함께 대학 건물로 활용토록 하였다. (그 중 하나는 오늘날까지 고딕식 1층으로 보존되어오고 있다.) 점차적으로 진행된 공사로 강의실로 필요한 공간들과 교수 및 학생들의 기숙사가 생겨났다.

카롤리눔에서 제일 유명한 곳은 이미 위에서 언급했듯 측벽 가운데 있는 교회의 교각 사이 사이를 볼 수 있는, 2층 강당이다. 오늘날 강당에는 카렐 4세의 동상이 우뚝 서있다. (카렐 포코르니의 작품) 이 곳에서는 입학식, 졸업식 및 각종 교내 행사가 이루어지며, 후스의 노래 ‘예수 그리스도여, 자비하신 분이시여’가 오르간 반주에 맞추어 울려 퍼진다. 이는 1396년부터 얀 후스(Jan Hus)가 개혁운동을 시작한 이후, 카렐 대학이 첫 종교 개혁의 정신적인 온상이자 연단이 되었었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후스는 곧 대학 내에서 주요한 인물이 된다. 1401-2년 철학부 학장으로 선출되었고, 1402-3년과 1409-10년 대학 총장으로 재임한다. 그의 ‘alma mater’를 바탕으로, 개혁 운동을 시작하고 이끌었다. 특히 1402년부터, 대학 교회였던 베들레헴 교회에서의 설교 활동과 그것을 연결시킬 수 있었다.

영국의 종교 개혁자 존 위클리프의 교의와 연결되어, 얀 후스도 철학적인 사실주의의 의미에서 교회는 그리스도 복음의 가르침과 초기의 사도들의 교회화 방법으로의 철저한 회귀로 기초부터 ‘머리부터 사지까지’ 개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 외국 성직자들은 반대를 한 반면, 후스의 개혁안은 평의회에서부터 기대를 모아, 종교 회의를 소집한 바츨라프 4세도 체코 성직자들과 모여 힘을 실어주었다. 그 당시 대학은 파리의 본을 떠서 4개의 학부로 나뉘어져 있었다. (철학부, 신학부, 의학부, 법학부) ; 교수들과 학생들은 태생에 따라 4개의 ‘민족’ – 체코인(체코 내 독일인 포함), 바바리아인, 색슨족, 폴란드인으로 구분되었다. 각 ‘민족’은 중요한 결정 사항 앞에서 한 표씩을 행사했기 때문에, 외국인들은 대학 내에서 다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후스와 예로님(Jeronym)의 주장으로 이러한 제도는 1409년 왕의 쿠트나호라 칙령(Kutnohorský dekret)으로 바뀌었으며, 이후로 체코 민족에게는 3 표를 주고, 외국인들에게는 한 표를 주게 되었다. (칙령은 카롤리눔 앞마당에서 성대하게 발표되었다.)

위클리프의 교의에 대한 논쟁이 극에 달하고 있을 무렵 후스는 실질적인 개혁 싸움을 시작한다. 즈비녝(Zbyněk) 대주교는 반 후스파 입장에 서게 된다. 공개적으로 위클리프의 교서들을 불태우게 하고, 금지 당했음에도 베들레헴 교회에서의 설교를 그만두지 않았던 후스를 화형에 청하게 하였으며, 이단으로 규정하였다. 1412년 6월 7일 후스가 예로님과 함께 교황의 면죄부 판매에 대항하여 카롤리눔에서 공개 논쟁을 벌였을 때, 싸움은 한층 격렬해졌다. 도시에 있는 한 일체의 교회 활동을 금지한 ‘성무 금지령’이 발표된 후, 시골로 자진하여 내려간 1412년 9월, 후스의 프라하 활동은 끝이 난다. 대학과의 연락, 특히 총장 후임자였던 M. 야코우벡(Jakoubek) 과는 콘스탄츠에서의 형기 생활 때까지 지속된다. 이 때부터 야코우벡에게 양종 성찬주의에 대한 그의 동의를 적어 연락한다.
후스의 순교이후, 대학 마저 그의 개혁 의견에 전적으로 동참한다. (후스는 공의회에서 마치 대법원이나 당국처럼 예수 그리스도에게 이의를 제기하였다. 이는 교회가 교황과 공의회의 노예였던 것에서 자유가 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417년 대학은 후스가 신의 정의를 위해 싸운 순교자였음을 선포하고, 양종 성찬의 정당성을 강조하게 된다. 야코우벡과 그의 동료들은 후스의 개혁 요구안을 정리하여, 1420년 7월 14일 카롤리눔에서 프라하 4개 조항이라는 이름으로 선포한다. 후스의 대학은 개혁의 시기가 끝날 때인 1620년까지 종교적 믿음에 관한 문제를 결정하는 기관이 되었다.
개혁 기간동안 카롤리눔은 또한 주요한 교회 행사를 주관하는 곳이 되었다.
이 곳에서 후스주의 교회 교구 감독들이 모여 양종 성찬에 관한 선거를 실시한다. 특히 1421년 교구가 중요하였는데, 가톨릭이나 타보르파와도 차이가 있는 프라하 성배주의 원칙을 세운다. 그러나 1431년 펠흐지모프의 니콜라스 (Mikuláš z Pelhřimova)주교에 의하여 작성된 타보르 선언 또한 이 곳에서 행해졌다. 100년 후인 1543년 성배 교의와 루터파 교의의 차이점에 관한 협의가 이 곳에서 이루어졌다.
나중에 카롤리눔에서는 신교도들의 회의가 열린다. 루돌프 2세의 종교와 자유에 관한 칙령의 내용을 고수하려는 신교도들과, 그 내용을 없애려는 가톨릭 세력들간의 충돌이 있던 때, 1618년 봄 마티아쉬(Matyáš) 황제에 의하여 문제점 협의의 요구를 받아 귀족들이 소집된다. 황제가 요구서를 거부하고 다른 회의도 금지시켰을 때, 1618년 5월 21일 귀족들은 분개하여 이 곳에서 모임을 가진 후, 이틀 뒤 무장한 사람들을 대동한 귀족 대표를 프라하 성으로 보낸다. 그러나 협의를 채 마치지도 못한 채, 왕실 대표들을 창문 밖으로 내던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른바 제2차 ‘창문 밖 투척 사건’으로 합스부르크 카톨릭 세력에 대항하는 항쟁이 시작되었다.
백산 전투에서의 패배로 페르디난드 2세(Ferdinand Ⅱ)는 1620년 체코 개혁에 대한 댓가로 대학에 까지 형벌을 가한다. 1622년 대학 내에 예수이트(Jesuit) 행정실을 열고 카롤리눔을 그들의 독일 기숙사였던 클레멘티눔(Klementinum)과 연결시켰다. 카렐 대학은 카렐-페르디난드 대학이라 개칭하고, 체코와 독일 파트로 나뉘어져있던 1882년까지 독일 행정 아래 있었다. 카렐 대학은 제 1공화국 시절인 1920년까지 재 개편 되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