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글] 성공적 모델 분석 통해 효과적 방향 제시 기대

2007년 2월 3일 기독공보

선교특집/ 한국교회 해외 선교, 이렇게 업그레이드하라

협력 선교
성공적 모델 분석 통해 효과적 방향 제시 기대
이 종 실 /  총회 파송 체코 선교사

고장난 레코드처럼 해외 선교에 대해 똑 같은 문제들이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다. 똑 부러지는 대안 없이 계속 지적되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선교지에서의 선교사들의 협력문제이다. 새로운 해결책이라고 내어놓으면 오히려 또 다른 문제만 야기시키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세계선교부(이하 선교부)가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지 선교회의 활성화’라는 현실적인 대안을 적절하게 제시하였지만 접근방식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선교부의 홈페이지를 클릭하면 오른쪽 상단에 80개국 5백18가정 9백49명의 파송현황이 나온다. 조금 관심을 가지고 선교부 직원현황을 보면 총무를 포함해서 고작 여섯 명이다. 직원 한 명당 선교지 최소 12개국 약90가정 1백55명 선교사들을 담당하는 셈이다. 게다가 선교부 각종 회의까지 담당해야 한다. 그들의 업무는 가히 살인적이다. 선교사가 더 파송 될수록 선교부 직원들도 허리가 휘겠지만 선교사들의 선교지 상황은 더 악화가 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선교부가 원치 않더라도 행정편의주의로 갈 수 밖에 없고 그 결과는 선교사들에게 선교부가 선교비 창구 통일로 재정(선교비)과 인사권(파송)을 독점하고 있는 권력기관으로 나타날 여지가 있으며 그렇다면 이것은 또 다른 선교지의 갈등요인이 될 수 있다.

최근 선교부가 관심을 가지고 업무의 온라인화와 함께 내놓은 기존의 국가 단위에서 몇 개의 국가를 함께 묶은 수정된 현지 선교회 정책에서 불행하게도 행정편의주의를 읽을 수 있다. 선교부가 인적 자원을 충당해서 선교부 주도로 면밀하게 선교현장을 연구하고 지도와 관리를 하던지,아니면 현장의 문제를 현지선교회라는 이름으로 선교사들에게 위임을 하려면 차라리 선교지 바닥에서 현지 선교회 정책이 올라오도록 유도하는 것이 현재 선교부의 현실 상황에도 맞고 그리고 교단이 해외선교의 큰 틀을 유지하는 정책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선교는 지역교회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는 우리교단의 해외선교 정서에도 오히려 가까울 수 있다. 남미에서, 아시아에서 현지 선교회의 바람직한 모델들이 나오고 있다. 선교부는 이 모델들의 태동 과정과 시행착오 그리고 극복 과정을 분석해서 다른 선교지와 공유하고 확산하도록 돕는 통로역할만 하여도 그것으로 정책적인 선교 현지 지도가 가능하다.

지적되는 선교 현지의 선교사들의 협력을 저해하는 원인들 즉 경쟁적 선교활동과 중복투자의 문제, 선교사 재배치 문제,선교사 사역과 재정의 투명성 문제, 같은 선교지에서 활동하는 선교사들이 선교지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를 하고 그로 인한 선교정책의 혼선,선교사들의 바른 관계를 어렵게 하는 타문화에 오래 노출된 선교사들의 인성과 실존 그리고 영성의 문제,현지인 또는 현지 교회와의 관계의 문제,선교신학적 차이의 문제 그리고 선교사의 바르지 못한 선교동기 등의 문제들의 조속한 해결은 선교사들에게 더 이상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어 있음을 선교사 자신들은 알고 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