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생각하며] 프라하 성 네온사인 하트와 성탄의 별

<나눔터 제29호>

프라하 성 네온사인 하트와 성탄의 별

어두움이 깊을수록 더욱 빛나는 별처럼 스산하고 우울하고 어두운 길고 긴 겨울 밤에 프라하 성의 하트모양의 빨간 네온사인이 밝게 빛난다. 이 네온사인은 하벨 대통령이 편지 말미에 상징적으로 즐겨 쓰는 하트를 그대로 본뜬 것으로 대단한 체코 예술가가 하벨의 대통령 퇴임을 앞두고 공산독재와 맞서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그의 편지를 받고 지지한 서방 정치 지도자들에게 감사와 작별인사를 올리는 표시로 작년 11월 프라하에서 열린 나토정상회의에 맞추어 그 자태를 드러냈다. 평화와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하벨의 모습이 나토회의로 모여든 서방 지도자들의 가슴에 프라하 성의 아름다운 야경과 더불어 빨간 네온사인으로 다시 확인되고 각인되었으리라.

고풍스러운 성과 현대식 네온사인, 자신을 죽이며 성의 고색(古色)을 은은히 밤하늘에 비쳐주는 조명과 주위를 더욱 어둡게 만들며 천박한 빨간색을 스스로 뽐내는 네온사인 그것도 선정적인 하트모양의… 무언가 부조화를 느끼지만 대예술가의 이름에 주눅이든 필자는 언감생심(焉敢生心) 감히 그 작품에 대해 평을 어찌 할 수 있으리요. 벌거벗은 임금의 옷도 아름답고, 이름있는 디자이너가 벌거벗겨놓은 모델의 시원스레 쑥 빠진 몸매를 긴장하여 침을 삼키며 훔쳐 보면서 그 의상을 감상하는 척 무식과 말초적인 인간성을 감출 뿐이다.

그런데 이제 예술 세계의 눈을 열어가는 예술학교 학생들이 어느날 사다리를 타고 성 꼭대기로 올라가 하트의 절반을 없애 그것을 ? (물음표)로 바꾸어 놓으려고 하였다. 그 소식을 듣고 프라하 성과 빨간 네온사인의 부조화에 대한 무식한 필자의 느낌에 확신이 생겼다. 선동적인 학생들로부터 용기를 얻은 것은 필자 뿐만이 아니었다. 얼마 후 성 아래 강변 식당들이 카드놀이에 나오는 다이아몬드, 스페이드, 크로버 모양의 네온사인을 제각각 지붕꼭대기에 매달아 갑자기 프라하 성 일대의 야경을 밤 유흥가로 변화시켜버렸다. 평화와 민주주의의 상징이 선동적인 학생들과 심술궂은 장사꾼들로 조롱을 당하는 듯 하였지만 오히려 이러한 해프닝(?)은 체코 공화국이 하벨이 세운 평화로운 자유 민주주의 국가임을 증명하고 있다.

그러나 해 아래 아무것도 감출 수 없듯이 역사 앞에서 모든 진실이 드러난 것인가? 하벨이 전생애를 걸고 투쟁한 평화와 민주 민주주의의 상징인 빨간 네온사인이 꺼지는 날, 즉 그의 대통령 집무 마지막날인 1월 31일(2월 2일 퇴임)에 평화와 민주주의에 대한 하벨의 진실에 의문이 드러났다. 공교롭게도 이날 하벨은 다른 유럽 7개국 정치 지도자들과 함께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지지하는 서한에 서명을 하였다. 이에 대해 4개국에서 모인 그린피스 15명의 회원들은 하벨의 평화와 민주주의의 투쟁의 상징 하트에 “War ?” 라는 구호가 적힌 현수막을 걸고 시위를 하였다. 그들은 하벨에게 “당신은 전쟁을 사랑한단 말인가?” 질문을 한 것이다. 그들은 공산독재와 맞서 생명을 걸고 비폭력으로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하벨과 이라크 전쟁 지지 서한에 서명한 하벨 사이에서 “당혹스러움과 배신감”을 느꼈다.

대량학살을 막기위해 이라크가 개발한 잔인한 생물 화학 무기를 강제로 무장해제 시켜야 된다는 미국의 입장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운명 공동체 유럽이 분열되고있다. 전쟁 없이 국제적인 협의와 외교적인 압력으로 재난을 피하는 노력은 인류의 피할 수 없는 책임이다. 이에 대해 세계 어느 나라 보다도 미국은 더 큰 책임이 있다.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전쟁을 조기종결 한다는 명분으로 단지 두개의 원자폭탄으로 히로시마에서 10만 여명, 나가사키에서 8만 여명의 사상자를 낸 끔찍한 재난의 경험을 인류에게 안겨준 나라가 바로 미국이 아닌가? 온 인류가 전쟁 없이 대량살상무기를 지구에서 추방하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얼마 전에 서양의 명절중의 명절인 성탄절이 지나갔다. 평화와 기쁨의 상징인 성탄 별은 헤롯 왕의 성 꼭대기가 아니라 가난한 예수가 누운 마구간 지붕 위에서 빛났다. 헤롯 왕의 궁전에서는 대량살상무기의 위협과 전쟁의 공포로 고통 받는 이들이 결국 자기 자신들임을 모른다. 오히려 그 성(城)에서는 권력을 지속시키기 위한 대량학살 계획만이 있었을 뿐이다.

목사 이 종 실 (나눔터 발간인)

Subscribe
Notify of
guest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