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감(反感)을 일으킨 기독교 선전.

반감(反感)을 일으킨 기독교 선전.

체코언론은 최근 인구조사가 보여준 감소된 기독교 인구 10% 즉 백만명이 어디로 사라졌는지 토론을 시작하였다. 1990년 불신자가 전인구의 39.9%였던것이 현재 58%이된 원인이 많으나 누구도 이렇게 큰폭으로 기독교인구가 감소한 것을 예상하지 못했기에 언론이 이 토론에 참여하게 된것같다.

명백하면서도 예상하지 못했던 현상이다. 1989년 보도자료들이 무리지어 유물론적인 세계관을 선전 하였던 것 처럼 혁명이후 그 자료의 주요한 내용이 변화하였고 기독교인에 대해 관심을 갖게되었다. 심지어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많은 프라하 기자들이 공산주의에서 기독교인으로 날마다 변하고 있다.

그러한 체코 엘리트의 내적인 사상의 변화의 동기는 사회학적인 연구를 포기케 하였다. 체코인은 10여년간 방어적인 메커니즘을 구축한것에 반대하는 가르침의 어떠한 시도에 대해서도 다분히 감정적이었다. 주요 뉴스 즉 공중파 텔레비전 뉴스의 사회자가 교황을 “성부”로 표현할 때 절대다수의 국민(불신자와 개혁교도)들에게 요한 바울 2세 교황이 김정일 보다 더 거룩한 아버지가 아님을 숙고하지않았다.

부활절기나 성탄절기에 공공언론은 기독교 풍습을 기껏해야 소수의 사람들에게 일어났던 성경 이야기를 각색한다. 신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방영은 대다수의 비신자 국민들에게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방송은 사상적으로 중립을 지켜야한다. PD들은 이러한 점에서 방송 자질이 없다.

몇몇 “비좌파” 체코신문들이 조직적인 기독교선전에 점점 더 많은 면을 할애하고 있다. 첫눈에 하나님 또는 창조주 단어가 많은 기사의 제목이 들어온다. 한 신문이 톱기사로 “신자수 감소…” 제하의 최근 인구조사 결과를 다루었다. 왜 중복어를 사용하는가?(번역자 주 –체코어에서 ‘신자’는 영어식 표현을 빌려 바꾸자면 ‘believer in God’이 된다. Believer로 충분하지않고 in God을 덧붙인다. 이것이 저자가 의미하는 ‘중복어’(pleonasm) 이다.) 하나님 말고 다른 것을 믿는 신자들(“성삼위일체”-맑스, 엥겔스, 레닌/스탈린을 믿는 사람)이 있기때문인가? 톱기사는 어울리지않게 넓은 지면에 신앙과 관련된 제목을 달았다.

기독교 도덕에 대해 숙고하고 십계명을 분석하고 인터뷰로 정치인들의 신앙에 대해 조사를 한다. 신문기사들은 체코 기독교 전통과 현재 그리고 (특별히 카톨릭)교회 간의 짧은 연합을 대중적으로 형성하였다. 이들 신문들은 모든 일반적인 언론의 중립성과 신앙에 대한 질문이 공개적으로 토론이 되지않는 사람의 개인의 문제라는 원칙에 대한 프랑스의 좋은 규칙을 배우려하지 않는다.

모든 노력에서 우리의 언론의 종교 선전이 국민의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사람들은 기독교 선전을 외면하려고 하고 있다. 그것이 금번 인구조사에 반영되었다. 혁명이후 공산주의 세뇌를 싫어하는 사람들 가운데 신앙인이 되었던 많은 사람들 가운데 적지않은 비율이 “종교 없음” 항목에 기쁘게 표시를 하였다.

마르틴 다녜스 / 소설가, 정치학자
(2001.07.17)

Subscribe
Notify of
guest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